def getMaxArrayMulti(numbers:Array[Int]) : BigInt = {
var mMultiply:BigInt = 1
val minData = numbers.min
val minIdx = numbers.indexOf(minData)

numbers(minIdx) += 1

for(num<- numbers) {
mMultiply *= num
}

mMultiply
}


Q3 답

'Quiz > Answ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2] Answer  (2) 2017.12.19
[A2/kyu] 즐거운 파티 (또 다른 방법)  (0) 2017.12.18
[A2/kyu] 즐거운 파티 (scala)  (0) 2017.12.18
[A2/hun] 2 Answer(Invite Party)  (0) 2017.12.15
[A1] 이런 답도 있다  (0) 2017.12.12

답안


def inviteParty2(first:Array[String], second:Array[String]) : Int = {
var mMap = new mutable.HashMap[String, Int]()

for(i<-first.length) {
mMap.put(first(i),0)
mMap.put(second(i),0)
}

for(i<-first.length) {
mMap(first(i)) = mMap.getOrElse(first(i),0)+1
mMap(second(i)) = mMap.getOrElse(second(i),0)+1
}

var ans = 0

for(key<-mMap.keySet){
ans = Math.max(ans, mMap.getOrElse(key,0))
}

ans
}


자바식으로 그대로 스칼라로 바꾼 것


좋은 답은 아닌거 같다

'Quiz > Answ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3] Answer  (0) 2018.01.03
[A2/kyu] 즐거운 파티 (또 다른 방법)  (0) 2017.12.18
[A2/kyu] 즐거운 파티 (scala)  (0) 2017.12.18
[A2/hun] 2 Answer(Invite Party)  (0) 2017.12.15
[A1] 이런 답도 있다  (0) 2017.12.12

'Quiz > Answ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3] Answer  (0) 2018.01.03
[A2] Answer  (2) 2017.12.19
[A2/kyu] 즐거운 파티 (scala)  (0) 2017.12.18
[A2/hun] 2 Answer(Invite Party)  (0) 2017.12.15
[A1] 이런 답도 있다  (0) 2017.12.12

'Quiz > Answ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2] Answer  (2) 2017.12.19
[A2/kyu] 즐거운 파티 (또 다른 방법)  (0) 2017.12.18
[A2/hun] 2 Answer(Invite Party)  (0) 2017.12.15
[A1] 이런 답도 있다  (0) 2017.12.12
[A1/kyu] 키위쥬스 (Scala)  (0) 2017.12.11
def inviteParty(first:Array[String], second:Array[String]) : Int = {
var mResultCnt = 1

var mFirstMap = mutable.Map[String, Int]()
var mSecondMap = mutable.Map[String, Int]()

for (num <- first.indices) {
if(mFirstMap.contains(first(num)) || mSecondMap.contains(first(num))
|| mFirstMap.contains(second(num)) || mSecondMap.contains(second(num))){
mResultCnt+=1
}
mFirstMap.put(first(num), 1)
mSecondMap.put(second(num), 1)
}

mResultCnt
}


 답!

'Quiz > Answ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2/kyu] 즐거운 파티 (또 다른 방법)  (0) 2017.12.18
[A2/kyu] 즐거운 파티 (scala)  (0) 2017.12.18
[A1] 이런 답도 있다  (0) 2017.12.12
[A1/kyu] 키위쥬스 (Scala)  (0) 2017.12.11
[A1/hun] 1 WEEK Answer (KIWI Juice)  (0) 2017.12.11

if 문은 적게 쓸수록 좋다 그거는 프로그래머라면 다들 알고 있는 상식!!


이건 내가 한 것이 아니다...


def thePouring2(capapcities:Array[Int], bottles:Array[Int], fromId:Array[Int], toId:Array[Int]) : Array[Int] = {

for(nl <- fromId.indices ) {
val sum = bottles(fromId(nl)) + bottles(toId(nl))
bottles(toId(nl)) = Math.min(sum, capapcities(toId(nl)))
bottles(fromId(nl)) = sum - bottles(toId(nl))

}

bottles
}


결국은 수학적 사고 방식이 필요 한 것인가...


때론 단순한게 좋지만...


Input이 크지 않는 데이터라면 속도 차이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지만


Input이 커질수록 if문이 있고 없고의 차이는 크다...


하지만 무엇이 딱 옳다고 말 할 수는 없는 것 같다.


코드는 줄일 수 있다면 좋지만 그 만큼 가독성이 떨어지기도 하니 말이다..

'Quiz > Answ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2/kyu] 즐거운 파티 (또 다른 방법)  (0) 2017.12.18
[A2/kyu] 즐거운 파티 (scala)  (0) 2017.12.18
[A2/hun] 2 Answer(Invite Party)  (0) 2017.12.15
[A1/kyu] 키위쥬스 (Scala)  (0) 2017.12.11
[A1/hun] 1 WEEK Answer (KIWI Juice)  (0) 2017.12.11

더 좋은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더 공부를 해봐야 할 것 같다.

 

 

 

 

'Quiz > Answ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2/kyu] 즐거운 파티 (또 다른 방법)  (0) 2017.12.18
[A2/kyu] 즐거운 파티 (scala)  (0) 2017.12.18
[A2/hun] 2 Answer(Invite Party)  (0) 2017.12.15
[A1] 이런 답도 있다  (0) 2017.12.12
[A1/hun] 1 WEEK Answer (KIWI Juice)  (0) 2017.12.11

[Hun]

무언가 좀 더 깔삼한 방법이 있을 것 같지만...


일단 우선 적으로 만든 것(Scala)


def thePouring(capapcities:Array[Int], bottles:Array[Int], fromId:Array[Int], toId:Array[Int]) : Array[Int] = {

for(nl <- 0 until fromId.length ) {
val fromNum = fromId(nl) //시작 넘버
val toNum = toId(nl) //to 넘버

val addJuice = bottles(toNum) + bottles(fromNum)

if(capapcities(toNum) - addJuice <0) {
bottles(toNum) = capapcities(toNum)
bottles(fromNum) = addJuice - capapcities(toNum)
} else {
bottles(fromNum) = 0
bottles(toNum) = addJuice
}
}

bottles
}


'Quiz > Answ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2/kyu] 즐거운 파티 (또 다른 방법)  (0) 2017.12.18
[A2/kyu] 즐거운 파티 (scala)  (0) 2017.12.18
[A2/hun] 2 Answer(Invite Party)  (0) 2017.12.15
[A1] 이런 답도 있다  (0) 2017.12.12
[A1/kyu] 키위쥬스 (Scala)  (0) 2017.12.11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