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 네이버 영화 출처>



  • I made you special breakfast.

  • I look like disney character.

  • Don't make me go.

  • You can keep homeschooling me.

  • I've taught you everything I know.


화이트씨는 다재다능한 사람입니다.(모든 것이 그의 관심 대상입니다.) 그래서 그에게는 친구가 많습니다. 하지만 불행하게도 그의 친구들은 다재다능하지 않습니다. 그래서 파티를 개최할 때마다 모두가 즐겁게 파티를 보내려면 어떤 친구를 초대 할지가 큰 문제 입니다. 화이트씨는 그 동안의 경험으로 초대된 친구 모두가 공통의 흥미 있는 화제가 있을 때 파티를 즐긴다는 것을 알았습니다.

문자열 배열 first, second가 주어집니다. 화이트씨의 i 번재 친국 흥미 있는 화제는 first[i]와 second[i] 입니다. 즐거운 파티가 되려면 화이트씨가 초대 할 수 있는 친구는 최대 몇 명인지 리턴하세요


[제약 조건]

first -> 1~50개의 요소를 갖는 배열

second -> first와 같은 크기의 배열

first, second 공통 -> 각 요소는 1~5개의 문자, 각 문자는 영어 소문자, i번재 요소 first[i]와 second(i)의 내용은 다르다.


[예시]

0) first = {"fishing","gardening","swimming","fishing"}

    second = {"hunting","fishing","fishing","biting"}

    returns : 4

1) first = {"a","b","c","d"}

    second = {"e","f","g","h"}

   return : 1

2) first = {"a","b","c",d"}

    second = {"e","e","f","e"}

   return : 3


사용 언어는 Scala

'Quiz > Ques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Q3] 암호  (0) 2017.12.19
[Q1] 키위쥬스 (Scala)  (0) 2017.12.11

if 문은 적게 쓸수록 좋다 그거는 프로그래머라면 다들 알고 있는 상식!!


이건 내가 한 것이 아니다...


def thePouring2(capapcities:Array[Int], bottles:Array[Int], fromId:Array[Int], toId:Array[Int]) : Array[Int] = {

for(nl <- fromId.indices ) {
val sum = bottles(fromId(nl)) + bottles(toId(nl))
bottles(toId(nl)) = Math.min(sum, capapcities(toId(nl)))
bottles(fromId(nl)) = sum - bottles(toId(nl))

}

bottles
}


결국은 수학적 사고 방식이 필요 한 것인가...


때론 단순한게 좋지만...


Input이 크지 않는 데이터라면 속도 차이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지만


Input이 커질수록 if문이 있고 없고의 차이는 크다...


하지만 무엇이 딱 옳다고 말 할 수는 없는 것 같다.


코드는 줄일 수 있다면 좋지만 그 만큼 가독성이 떨어지기도 하니 말이다..

'Quiz > Answ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2/kyu] 즐거운 파티 (또 다른 방법)  (0) 2017.12.18
[A2/kyu] 즐거운 파티 (scala)  (0) 2017.12.18
[A2/hun] 2 Answer(Invite Party)  (0) 2017.12.15
[A1/kyu] 키위쥬스 (Scala)  (0) 2017.12.11
[A1/hun] 1 WEEK Answer (KIWI Juice)  (0) 2017.12.11

+ Recent posts